본문 바로가기
게임 관련/게임 관련 정보

[게임 스트리밍] 근데 왜 치지직이니?

by 이름름이 2024. 6. 10.

 

치..치지..치지직... 
하늘소, 하늘소 여기는 두더지 셋

 

 알포인트에서 나오는 대사 중 하나인데요. 치지직 거리는 소리 때문에 유독 더 무서웠던 느낌이 있습니다. 여기 올해 정식으로 서비스를 시작한 소리가(?) 있습니다. 바로 치지직! 트위치가 철수를 발표하면서 새롭게 네이버에서 등장한 방송 플랫폼입니다. 저는 남는 개인 시간에 좋아하는 스트리머 여러 명 방송을 한 번에 켜놓고 보는 것이 취미 중 하나인데요. 트위치 철수 소식 때문에 정말 슬펐지만(아프리카 TV는 좀... 안 맞는) 바로 치지직의 소식에 안도의 한숨을 내쉰 적이 있습니다. 근데 생각해 보니까 왜 치지직인지 알고 있던가?라고 했을 때 난 몰?루?의 상태라 찾아봤습니다. 

요약

  • 트위치의 한국 철수 왜 했는지 알아 보겠습니다.
  • 치지직이 만들어지기까지의 과정을 알아봤습니다.
  • 트위치 철수 후 방송 플랫폼들의 점유율은 어떠한지 알아봤습니다.

세부 내용 정리

 

트위치는 왜 떠납니까?

 

어르신들의 사정이 있겠습니다만.. 트위치 CEO 형님 이 말씀하신 구체적 이유는 " 더 이상의 손해 감수하기 어려워서 한국에서 철수합니다."였습니다. 트위치도 몇 년 동안 수익성 강화를 위해서 기능을 점차 축소했었는데요. 대표적인 축소 안 들은 22년 9월 화질 1080 -> 720 제한, 22년 11월 클립, 다시 보기 기능 삭제입니다. 개인적으로 클립, 다시 보기까지는 참았지만 화질 부분에서 정말 보기 짜증 난다 싶을 정도였습니다. 로스트아크의 보스 레이드 이펙트 상당히 화려한데요. 720 화질로 방송을 보니 깨져서 보이니까 정말로 눈갱이 이런 거구나 느낄 수 있었습니다. 

 

최근 접한 소식인데요. 트위치에 필수적으로 사용했던 트윕, 트게더를 개발 및 운영 중이던 EJN의 트게더 사업도 철수한다는 소식을 접했습니다. (트게더에서 정말 재밌게 놀고 게임방송에 도네도 정말 많이 했는데 그저 아쉬울 따름입니다.) 트위치의 경우 이미 매년 500억 원가량의 망사용료를 지불하고 있었다고 합니다.(망사용료 관련하여 확장정리에서 상세하게 후술) 

 

스트리밍 게임 플랫폼 1위 트위치의 한국 사업 철수했을 때 들었던 생각은 시청 조차 할 수 없는 것인가에 대한 고민이었습니다. 하지만, 아직까지 멀쩡하게 잘 들어가서 시청이 됩니다.! 저의 경우 해외 인플루언서 방송도 종종 챙겨 보기 때문에 희소식입니다. 

 

왜 하필 치지직?

 

네이버에서 새로운 서비스 이름을 정할 때 2가지의 기준을 중심으로 고민했다고 합니다. 1. 서비스 속성이 명확하게 드러날 것, 그리고 사용자가 이해하기 쉬운 표현일 것이라고 합니다. 또한, 서비스 이름 앞에 네이버를 붙이지 말지에 대한 고민 포인트가 있다고 합니다. 아무래도 높은 브랜드 충성도와 신빙성 때문인 것으로 보입니다. 스노우와 크림처럼 독립적으로 브랜드 포지셔닝을 하는 것이 유리하다 판단했다고 합니다.  

 

주파수 맞출 때 나는 소리 치지직!에서 착안한 명칭이라고 합니다. 스파크가 탁 튀는 것처럼 다양한 재미를 느낄 수 있는 느낌의 센스있는 네이밍이네요. 근데 내부애서도 치지직 이름 관련해서 정말 많은 고민들이 있었다고 합니다. 후발주자이기에 젊은 유저층를 후킹할 수 있는 네이밍이 필요했기에 그대로 밀고 나아갔다고 하네요. 그런 측면에서는 잘먹혔다고 생각이되네요. (방송 화면 안맞을 떄 치지직 소리 나는 걸 착안하여 스트리머와 시청자들이 함께 소통하며 즐길 수 있는 스트리밍 플랫폼 치지직) 네이밍 선정 후에는 당연히 디자인적인 요소가 중요했다고 합니다. 

 

치지직에 어울리고 이용자들에게 꽂히는 로고를 위해 다양한 디자인을 기획했다고 합니다. 치지직의 독특한 이름과 연상되는 이미지를 만들기 위해서  수많은 고민들을 거쳐서 치지직 거리는 번개 모양의 로고 디자인이 완성되었다고 합니다.

 

치지직 서비스 라이브 후에도 게임 스트리밍 스트리머들과 협업하며 팝업 스토어, 대회 콘텐츠 지원 등 다양한 프로모션을 통하여 시청자들과 함께 성장하고 있습니다. 트위치

트위치가 떠난 후 점유율은?

출처: 와이즈앱 MAU 정리 그래프

 

결론부터 말하자면 트위치의 빈자리를 치지직이 완전히 메꿨습니다. 23년 12월 베타 운영할 때도 100만 명이 넘는 유저들이 이용했었으니 그때부터 흥행의 조짐이 보였습니다. 위 그래프를 보시면 정싱 출시 2월 기준으로 아프리카TV의 점유율을 뛰어 넘었습니다. 하지만 방심하면 안되겠죠.? 아프리카TV 또한 글로벌 출시와 함께 SOOP으로 변화할 예정입니다. 

(아프리카TV -> SOOP 관련 추가 정보는 이전 게시글 SOOP, 글로벌 라이브 스트리밍 플랫폼 ‘SOOP’ 베타 버전 출시

에서 확인 하실 수 있습니다.) 

 

확장 정리

망사용료
 
망중립성이란 데이터 트래픽 종류와 관계없이 사용자에게 동등한 데이터 제공 인터넷 규범입니다. 망사용료 관련하여 콘텐츠 사업자와 인터넷 사업자의 갈등이 시작된 계기는 2020년 코로나 사태로부터 시작되었다고 합니다. 사회적 거리두기로 인하여 사람들이 집에서 있는 시간이 늘어났기 때문입니다. 집에만 있다보니 콘텐츠 소비량이 급증하기 시작했으며 이떄 구글, 넷플릭스, 트위치 등 고화질 영상 트래픽 부담감이 늘었기 때문입니다. 정리하면 구글, 넷플릭스, 트위치와 같은 기업들이 한국에서 막대한 데이터를 사용하고 있는데요 사용량에 대하여 인터넷통신사업자인 SK, KT, LG에 사용량에 대한 대가를 지불해야 하는 것입니다. 망사용료 지불 관련하여 법안은 한국에서 최초로 발의 된 상태입니다. 
 
넷플릭스는 SK와 해당 문제로 법정 싸움으로 까지 번졌으나 파트너십을 채결을 통하여 화해를 했습니다. 트래픽 사용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구글의 경우는 납부를 하지 않고 있는 상황입니다. 왜냐하면? 망사용료 지급이 법적 의무가 아닌 계약사항에 가깝기 때문입니다. 이런 애매한 부분 때문에 분쟁이 계속되고 있다고 생각됩니다. 
 
구글이 지불하지 않고 국내 통신 사업자들이 지급 의무를 말하는 이유는 각자 정의한 범주가 다르기 때문입니다. 
1. 한국의 기준 - 인터넷에 접속하여 전송, 접속이 전송을 포함하고 있는 개념이며 구글이 자체 서버를 활용해서 한국 망을 추가로 붙였기 때문에 국내 통신사에게 추가적인 비용 지불을 해야한다는 입장입니다.
 
2. 구글의 기준 - 미국의 통신 기업 버라이즌과 같은 곳에 이미 망 사용료를 지급했고 사용료를 지불한 망에 접속한 것이기 때문에 지급할 의무가 없다는 부분입니다. 더 나아가 한국의 통신사가 별도의 전송료 또한 요구한다고 주장하고 있습니다.
구글이 보았을 때는 한국에서만 망사용료, 전송료 2가지 요금 지불을 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한국 통신업체들의 입장도 이해가 가는 편이고 구글의 입장도 이해가는 부분입니다. 하지만, 결과가 어찌되었던 간에.. 피해를 보는 것은 콘텐츠를 소비하는 우리들이라고 생각됩니다. 통신 사업자들이 해외 업체들과 계약을 진행할 때 애매한 부분 없이 사용한 부분에 대한 금액을 지불하게 만들 수 있는 장치가 필요하다고 생각되네요. 뭐가 되었던 망사용료 관련해서 소비자들이 사용료를 부담하게 만드는 일들은 없었으면 좋겠습니다.